내년 고령(65세 이상) 인구 규모가 1000만명을 넘어선다.
한국 인구 다섯명 중 한명이 노인이 되는 셈이다. 통계청은 이같은 인구 상황을 종합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
홈페이지를 통해 142종의 통계자료를 제시하는 '인구 상황판'을 띄우기로 했다.
27일 통계청이 공개한 인구상황판에 따르면 내년 65세 이상 인구는 1000만8326명으로 전망됐다.
올해 949만9933명에서 5.4% 증가한다. 작년 901만8412명으로 노인 인구가 사상 첫 900만명을 돌파한지 2년 만에
다시 1000만명을 넘어서는 것이다.
반면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 지난 2021년 614만3634명에서 올해 568만6017명, 내년 546만2580명 등으로 줄어든다.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021년 3702만9895명에서 내년 3602만9123명으로 100만명 넘게 줄어든다.
통계청은 이같은 연령별 인구 수를 포함한 인구상황판을 이날 공개했다. 인구의 과거, 현재, 미래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인구상황판을 비롯해, 주제별로 연관된 지표를 제시하는 인구이야기, 인구더보기 등을 마련했다.
통계청은 또 국민 관심도가 높은 통계지표 100개를 선정해 시각화 콘텐츠를 제공하기로 했다. 출생아수 등 인구지표, 경제활동 인구, 고용률 등 고용지표와 외래 관광객 수, 해외여행 경험률 등 다양한 통계지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