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종편집 2025-01-13(월)

데이터로보는세상
Home >  데이터로보는세상

실시간뉴스
  • K콘텐츠의 무한한 확장 원천, 스토리의 힘의 근원
    유치한 이모티콘과 맞춤법 파괴로 대표되었던 웹툰과 웹소설. 문학의 한 형태로 인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뜨거운 논란까지 불러 일으켰던 웹툰과 웹소설은 이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K콘텐츠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특히 온라인과 모바일의 발달과 함께 웹툰·웹소설과 같은 온라인 콘텐츠 시장의 성장이 이어지면서 최근의 웹툰,웹소설계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춘 하나의 미디어 포맷이 됐다. 지금까지 K콘텐츠는 영화, 드라마, 음악에 한정되었다면 현재는 웹툰, 웹소설, 게임 등으로 확장되며, 새로운 K콘텐츠로 급부상하며 자리잡고 있다. 특히 웹툰의 경우 그 상승속도는 가파르다. 시장을 보는 눈을 종이책에서 빠르게 온라인으로 돌린 탓에 웹툰 플랫폼을 모바일로 최적화하여 만화강국 일본을 따돌린 지 오래되었다. 현재 일본 웹툰 시장의 70%는 카카오(49.79%)와 네이버(21.7%)가 점령하였으며, 일본 플랫폼의 비중은 28.51%로 K웹툰 플랫폼이 몇 년사이 일본 웹툰 시장의 중심이 되었다. 그간 만화는 일본 ‘망가’가 세계 만화시장을 지배했다면 웹툰이 등장하면서 세계 만화시장 판도를 바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네이버웹툰 글로벌 월 MAU(월간 활성 이용자)는 8200만명을 돌파했다. 전 세계 만화시장의 규모는 연간 15조원 규모인데 이중 일본이 5조 7000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약 52%인 2조 9640억원이 디지털 만화시장이다. 만화 종국 일본을 시작으로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미국 등 여러 채널을 활용해 각국에 진출하였다. 현재 국내 웹툰, 웹소설 시장 규모는 1조를 넘은 지 오래다. 2017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조사를 시작한 이후 177% 증가한 웹툰, 웹소설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 3.26%를 예상하고 있다. 국내 웹툰 시장 규모는 2020년 1조 538억, 웹소설은 2013년 100억에서 2020년 6000억원으로 성장했다. 이는 일자리 창출로도 이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제작비를 낮추기 위해 동남아 등 외주로 진행되었던 작업들이 코로나와 콘텐츠 제작 노하우 해외 이전이라는 이슈와 맞물려 산업 경쟁력이 약화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이에 국내 제작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 취업을 지원하는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번 정부는 k콘텐츠 관련한 청년 일자리 50만개를 약속하기도 했다. 이에 각 지자체에서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웹툰, 애니메이션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반면 이렇게 높아진 K-콘텐츠 웹툰에 대한 불법 복제.유통도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2020년 웹툰 불법 복제.유통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약 5488억원으로 이는 2019년 3183억 대비 1.7배 증가하였다. 트랜디함으로 무장한 K-콘텐츠 웹툰, 웹소설. MZ세대의 취향을 확실히 관철하여 세대 특성을 반영하여 국내외 적으로 더욱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는 웹툰과 웹소설의 지식재산권(IP)는 타 산업군으로 영향을 미치며 확장해 가고 있다. 이미 전 세계 많은 콘텐츠와 미디어 시장은 K-콘텐츠 원천 스토리의 힘을 주목하고 있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2-09-16
  • 데이터로 살펴본 K-콘텐츠, 오징어게임
    비영어권 최초, 누적 시청시간 16.5억 역대 최고, 94개국서 53일간 1위 최장기록 등 다양한 기록들을 세운 오징어 게임. 난공불락 벽을 깨며 한국 콘텐츠의 저력을 다시금 입증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많은 신기록을 세운 오징어 게임이 비영어권 최초 제74회 에미상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 감독상을 포함해 모두 6관왕을 차지했다. 특히, 1949년 첫 개최 후 비영어권 작품들과 배우들에게 넘지 못 할 벽과 같았던 에미상에서 남우 주연상과 감독상 모두 비영어권 작품이 시상대에 오른 건 74년 에미상 역사상 처음이다. 2021년 9월 17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이후 신드룸을 몰고 온 오징어 게임이 만들어낸 역사적인 기록을 찾아보자. 최초 그리고 최초 또 최초 1949년 에미상 첫 시상식이 개최된 이후 영어가 아닌 작품이 후보에 오른 것은 오징어 게임이 최초이다. 그리고 수상한 것 역시 최초이다. 비영어 드라마가 미국 내 1위를 기록한 것 역시 오징어 게임이 최초이며, 넷플릭스가 공개한 비영어권 시리즈 중 미국에서 21일 연속 톱10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전세계 누적 시청시간 16억 5045만 시간 오징어 게임은 공개 후 28일동안 16억 5045만 시간, 55일 간 전 세계 순위 1위 기록하며 넷플릭스 최고의 흥행작이다. 2위는 기묘한 이야기 시즌 4로 13억 5209만 시간, 44일간 1위를 했다. 비단 넷플릭스 뿐만 아니라 유튜브 내 오징어 게임 인기도 만만 치 않다. 지금까지 영상 콘텐츠 조회수 1위는 왕좌의 게임으로 169억회였으나 오징어 게임은 조회수 170억회로 왕좌의 게임이 지난 10년간 8개 시즌을 통해 쌓아 둔 기록을 단 8주만에 가볍게 석권했다. 또한, 지난해 미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본 드라마가 바로 오징어 게임이다. 미국 시청률 조사기관 닐슨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제공하는 콘텐츠 중 주간 시청 시간을분석한 결과 오징어 게임은 32억 6000만분으로 1위를 기록했다. 2위에 오른 넷플릭스의 미드나이트 매스 시청 시간 11억 7000만분과는 2배가 넘는 격차를 보이고 있다. 전세계 1억 4200만 가구에서 시청 1년만에 오징어 게임은 전 세계 가장 핫 한 드라마가 되었다. 94개국에서 가장 많이 본 작품에 올랐으며, 전세계 1억 4200만 가구가 이 드라마를 시청했다. 이는 1997년 넷플릭스가 설립된 이후 가장 많은 구독자가 본 작품이다. 또한, 오징어 게임 시청 시간 중 95%는 해외에서 본 것이다. 무엇보다 넷플릭스의 시가 총액도 약 45조(385억달러) 증가했다. 특히 그간 한 번도 1위를 기록하지 못했던 인도에서 까지도 1위를 기록하며, 전 세계 넷플릭스가 정식 서비스되는 모든 국가에서 1위를 기록한 첫 작품이기도 하다. 300억으로 만든 9억달러의 효과 오징어 게임의 제작비용은 약 300억(2140만 달러)로 수익은 이에 40배가 넘는 약 1조2400억(9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시는 지난 9일 미국 대중문화계에 끼친 영향을 기려 매년 9월 17일을 오징어 게임의 날로 선포했다. 넷플릭스뿐 아니라 시상식의 모든 기록을 갈아치운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오징어 게임. 지난 1월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한국 배우 최초로 남우조연상을 수상한 이후 에미상에서 감독상과 남우주연상까지 거머쥐며 이젠 시상식과 관련된 기록까지 새롭게 쓰고 있다. 다가올 오징어 게임2는 또 어떤 새로운 기록들을 갈아치울 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2-09-14

실시간 데이터로보는세상 기사

  • 강력한 소비 주체로 떠오른 5060…서울시, 중장년 소비 트렌드 분석 결과 발표
    서울시 중장년층의 소비 트렌드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대표이사 강명, 이하 재단)은 9일(목) 서울시 중장년층(40~64세)의 소비 트렌드를 심층 분석한 ‘서울시 중장년 소비 및 정보활용 트렌드 분석’ 연구보고서를 발행해 소비 행태와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연령대별 변화 추이를 분석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이번 연구는 효과적이고 시의적절한 중장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의 목적으로 국민카드 업종별 소비 데이터를 분석했다. 2023년 11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1년간 최신 데이터와 2019년 분기 말 자료를 대상으로 서울시 40~64세 중장년 세대의 5년간 소비액과 소비 건수 규모를 비교분석했다. 특히 50대 이상의 소비 증가세가 두드러지며 경제의 새로운 축으로 급부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50대 이상의 소비 금액뿐 아니라 소비 건수 또한 증가하며 적극적인 소비 주체로 떠올랐다. 2019년과 비교하여 20~24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소비 금액이 증가했다. 그중에서도 50~54세는 51.0%, 55~59세는 57.5%, 60~64세는 6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30~34세(64.2%)를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소비 건수 증가율 역시 50세 이상이 높았다. 50~54세는 49.2%, 55~59세는 62.3%, 60~64세는 6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소비액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50대 이상의 소비 증가율은 온라인 업종에서 두드러졌다. 온라인 업종에서 50대 이상의 소비 증가율은 50~54세 119.2%에서 60~64세는 141.7%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증가 폭이 커지는 경향도 확인됐다. 이는 온라인 시장에서도 시니어 소비층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소비 건수 역시 50~54세는 49.2%, 55~59세는 62.3%, 60~64세는 65.4%가 각각 증가했다. 반면 40대는 위축된 소비 패턴을 보였다. 대부분 업종에서 소비 금액 증가율이 둔화하거나 감소해, 경제적 부담이나 가계 구조 변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유통, 식생활, 여가 및 교육 등의 업종에서 40대 소비는 감소하거나 증가율이 더뎠다. 50대 이상이 증가 추세를 보인 유통 업종에서 소비액이 감소했으며, 식생활 업종에서는 30대보다도 낮은 증가율을 보이는 등 비교적 생활비를 절약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 분야 소비에서는 중장년 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교육 소비에 대한 우선순위나 방식 등은 저출생과 출산연령 증가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연령대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연령의 증가 등으로 2019년에 비해 50대 초반의 교육비 부담 증가가 큰 폭으로 늘어났으며, 40대와 60대 초반에 비해 학습지·학원 등의 업종에서 소비액과 소비 건수 증가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중·고등학교 소비액 증가율도 상당히 높아 주로 학부모로서 교육비에 공격적인 소비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출생으로 인해 40대 및 50대 초반에서 자녀 보육 기관에 대한 소비액은 감소했으나, 사교육비는 증가하는 추세도 나타났다. 60대 초반은 복지센터, 평생교육원 등을 포함한 문화센터에 대한 소비액과 소비 건수 증가율이 상당히 높아 다양한 교육에 대한 열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정책연구팀 하재영 책임은 “2024년의 소비 규모와 최근 소비 증가세를 고려하면 중장년이 적극적인 소비자로 변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한편으로 중장년의 가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므로 계속해서 이들의 소득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서울시 중장년층은 소비 특성상 연령대 간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별 교육 및 일자리 수요 등에서 상이한 특성을 보임에 따라 정책 수요 파악과 설계 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재단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중장년 소비 수준과 기대 소득을 고려한 소득 안정화 방안과 연령대별 소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추진과 온라인 소비 활성화에 따른 신직업 창출 및 경력설계 프로그램 확대를 주요 과제로 설정했다. 특히 올해는 서울시 중장년의 일자리 수요조사를 시행해 더 구체적이고 실효성 높은 중장년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강명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연구로 지난 5년간 소비시장의 주체로 떠오른 5060세대와, 위축된 소비 패턴을 보이는 40대의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라며, “재단은 중장년층이 기대 소득을 유지하고 경제적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5-01-09
  • ’23년 기준 스포츠산업 매출액 81조 원 돌파, 역대 최대치 기록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1월 8일(수), 국내에서 스포츠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기준 ‘스포츠산업조사’의 주요 결과를 발표했다. ‘스포츠산업조사’는 「스포츠산업 진흥법」 제7조 및 「통계법」 제18조에 따른 국가승인통계조사로서 스포츠산업 규모와 경영 실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126,186개 기업 중 14,006개 표본을 대상으로 방문과 팩스, 전자우편 조사를 병행해 실시했다. ’23년 기준 조사 결과, 스포츠산업 주요 지표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매출액은 81조 원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했으며, ▴종사자 수는 45만 8천 명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사업체 수도 126,186개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다. <2023년 기준 스포츠산업조사 주요 결과> 업종별로는 스포츠용품업 매출이 4.7%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스포츠서비스업은 3.9%, 스포츠시설업은 2.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용품업은 유통 분야, ▴서비스업은 프로스포츠 및 관람 스포츠, 스포츠 교육 분야, ▴시설업은 기타 스포츠시설, 기타 수상스포츠시설, 실외 경기장 등이 매출 증가세 용품업 내에서는 스포츠 관련 무점포 소매업(온라인 판매) 9.7% 증가, 스포츠 신발 도매업 9.3% 증가, 운동 및 경기용구 소매업 6.3% 증가 등 유통 분야의 매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제조 분야에서는 운동 및 경기용 장비 제조업 7.1% 증가, 캠핑용 직물제품 제조업(텐트 등) 6.1% 증가, 스포츠 신발 제조업 5.0% 증가 등으로 조사됐다. 서비스업 내에서는 스포츠 에이전트업(운동선수 매니저) 25.0% 증가, 스포츠 경기업(프로야구단, 프로축구단 등) 20.6% 증가, 기타 스포츠 교육기관(축구 교실, 체조 교실 등) 15.3% 증가, 스포츠 여행업(해외 골프 여행 등) 14.8% 증가, 무술 교육기관(유도, 권투 등) 11.8% 증가 등의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시설업 내에서는 기타 스포츠시설 운영업(테니스장, 탁구장 등) 17.6% 증가, 기타 수상스포츠시설 운영업(레저보트 정박시설, 오락용 낚싯배 등) 15.6% 증가, 실외 경기장 운영업(축구장, 야구장 등) 13.7% 증가, 헬스장 7.5% 증가, 수영장 7.2% 증가, 골프연습장 6.9% 증가 등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문체부는 ’23년 81조 원 돌파를 시작으로 스포츠산업 규모를 ’28년까지 105조 원으로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먼저 고환율 및 경기둔화로 인한 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융자지원(’24년 1,637억 원 → ’25년 2,480억 원) 예산을 대폭 확대했고, 스포츠산업 펀드 조성을 위해 총 300억 원을 출자한다. 또한 지난해 12월 31일,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됨에 따라 시설업에 비해 융자지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용구업과 서비스업 대상으로 융자를 대폭 확대한다. 아울러 문체부는 스포츠 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출기업을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펀드 신설(정부출자 70억 원), 해외 전시 참가 및 수출상담회 지원 확대, 유망 스포츠 기업 국제 방송 홍보 지원(20편, 10억 원) 등을 추진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조사 결과,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스포츠산업 규모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라며, “2024년에는 역대 최초로 프로야구 관람객이 1천만 명을 돌파하는 등 프로스포츠 관람이 확대되고, 코로나 이후 국민 생활체육 참여율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올해 7월부터 수영장과 헬스장 시설 이용료가 소득공제에 포함되면 국민의 스포츠 참여가 더욱 증가하고, 관련 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체부는 이러한 성장세를 이어 2028년까지 시장 규모 105조 원을 달성하기 위해 스포츠산업 융자와 수출 지원을 확대하고, 스포츠기업 지원 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겠다.”라고 밝혔다. * 국민 생활체육 참여율: ’20년 60.1% → ’23년 62.4%(2023년 국민생활체육조사) 세부적인 조사 결과는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2025년 1월 중에 문체부 누리집(www.mcst.go.kr)에 게시할 예정이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5-01-08
  • 2024년 출생(등록)자 수 24만 명, 9년 만에 증가
    행정안전부는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분석결과, 우리나라 출생(등록)자 수가 24만 2,334명으로 2023년(23만 5,039명) 보다 7,295명(+3.10%) 늘어 9년 만에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4년 출생(등록)자 수는 24만 2,334명, 사망(말소)자 수는 36만 757명으로 2023년 대비 각각 7,295명(+3.10%), 6,837명(+1.93%) 증가했다. 특히, 출생(등록)자 수*는 8년 연속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남아(12만 3,923명)의 출생등록이 여아(11만 8,411명) 보다 5,512명 더 많았다. *(‘16)41만 1,859명 → (‘17)36만 2,867명 → (‘18)33만 4,115명 → (‘19)30만 8,697명 → (‘20)27만 5,815명 → (‘21)26만 3,127명 → (‘22)25만 4,628명 → (‘23)23만 5,039명 → (‘24)24만 2,334명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에 의한 주민등록 인구 감소(11만 8,423명)는 지속되고 있으나, 그 폭은 2023년(11만 8,881명) 보다 줄어들었다. 주민등록 인구*는 2020년 이후 5년 연속 줄어들었고, 남자 인구는 6년 연속, 여자 인구는 4년 연속 감소했다. *(‘20)5,182만 9,023명 → (‘21)5,163만 8,809명 → (‘22)5,143만 9,038명 → (‘23)5,132만 5,329명 → (‘24)5,121만 7,221명 한편, 여자(2,571만 8,897명)가 남자(2,549만 8,324명) 보다 22만 573명 더 많아 2015년 여자 인구가 남자 인구를 추월한 이래 여자 인구와 남자 인구 간의 격차*(여자-남자)가 확대됐다. *(‘15)1만 2,966명 → (‘16)4만 1,028명 → (‘17)6만 6,706명 → (‘18)9만 3,801명 → (‘19)12만 299명 → (‘20)14만 6,965명 → (‘21)14만 5,441명 → (‘22)16만 5,136명 → (‘23)19만 3,857명 → (‘24)22만 573명 주민등록 인구의 평균연령은 45.3세로 2023년(44.8세)에 비해 0.5세 늘었고, 여자(46.5세)가 남자(44.2세) 보다 2.3세 더 많았다. 전국 평균연령(45.3세)에 비해 수도권(44.3세)은 1.0세 낮은 반면, 비수도권(45.9세)은 0.6세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의 평균연령이 수도권 보다 1.6세 높았다. 연령대별 주민등록 인구 비중은 50대가 870만 6,370명(17.00%)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60대(15.27%), 40대(15.08%), 70대 이상(12.94%), 30대(12.93%), 20대(11.63%), 10대(9.02%), 10대 미만(6.13%) 순이었다. 남자는 50대(17.22%), 40대(15.40%), 60대(15.10%), 30대(13.56%), 20대(12.16%), 70대 이상(10.94%), 10대(9.31%), 10대 미만(6.31%) 순이며, 여자는 50대(16.78%), 60대(15.43%), 70대 이상(14.93%), 40대(14.76%), 30대(12.31%), 20대(11.10%), 10대(8.73%), 10대 미만(5.95%) 순으로 많았다. 연령대별 성비*를 보면, 30대가 109.20명으로 가장 높고, 20대(108.59명), 10대(105.71명), 10대 미만(105.09명), 40대(103.41명), 50대(101.77명), 60대(97.03명) 순이며, 70대 이상이 72.62명으로 가장 낮았다.*성비: 여자 1백 명당 남자 수 0~14세 유소년 인구는 546만 4,421명,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549만 6,018명,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25만 6,782명이며, 2023년 대비 0~14세, 15~64세 인구는 각각 19만 9,440명(▲3.52%), 43만 5,039명(▲1.21%)씩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52만 6,371명(+5.41%) 증가했다.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1만 7,221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4세 인구는 10.67%, 15~64세 인구는 69.30%, 65세 이상 인구는 20.03% 이다. 2025년 초등학교 입학예정인 6세 인구(’18.1.1.~12.31.출생)는 33만 4,145명으로 전년(36만 4,740명) 보다 3만 595명(▲8.39%) 감소했다. 전체 주민등록 세대수는 2,411만 8,928세대로 2023년(2,391만 4,851세대) 대비 20만 4,077세대(+0.85%) 증가하였고, 평균 세대원 수는 2.12명(▲0.03명)이다. 세대원 수별로 보면, 1인 세대(1,012만 2,587세대), 2인 세대(600만 5,284세대), 3인 세대(405만 2,362세대)는 각각 2023년 대비 18만 6,987세대(+1.88%), 13만 9,211세대(+2.37%), 2만 2,547세대(+0.56%) 증가한 반면, 4인 이상 세대는 감소했다. 전체 주민등록 세대(2,411만 8,928세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인 세대(41.97%), 2인 세대(24.90%), 3인 세대(16.80%), 4인 이상 세대(16.33%) 순이며 특히, 3인 세대가 4인 이상 세대를 앞질렀다. 전체 1인 세대(1,012만 2,587세대) 중 65세 이상 1인 세대는 299만 6,207세대로 29.60%를 차지하였고, 65세 이상 1인 세대 중 여자(197만 4,924세대)가 남자(102만 1,283세대) 보다 95만 3,641세대 더 많았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는 2,604만 7,523명(50.86%), 비수도권 인구는 2,516만 9,698명(49.14%)으로 나타났다. 2023년 대비 수도권은 3만 3,258명(+0.13%)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14만 1,366명(▲0.56%) 감소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인구 격차*(수도권-비수도권)는 87만 7,825명으로 늘어났다. * (’19)1,737명 → (’20)24만 7,591명 → (’21)40만 7,757명 → (’22)53만 1,198명 → (’23)70만 3,201명 → (’24)87만 7,825명 2023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6만 3,864명), 인천(+2만 3,600명), 충남(+6,455명), 세종(+4,160명) 4곳이고, 그 외 13곳의 인구는 감소했다. 인구가 증가한 시·군·구는 경기 화성시(+2만 4,479명), 경기 양주시(+2만 979명), 서울 강동구(+1만 7,775명), 경기 파주시(+1만 3,555명), 서울 강남구(+1만 2,472명) 등 총 54곳이다. 특히, 인구감소지역(89곳) 중 충남 예산군(+418명, +0.53%), 인천 강화군(+397명, +0.58%), 전남 영광군(+348명, +0.67%) 등 8곳*의 인구가 전년 보다 증가했다. * 충남 예산군, 인천 강화군, 전남 영광군, 경기 가평군, 경북 안동시, 전남 신안군, 전북 순창군, 경북 울릉군 2024년 주민등록 인구이동자 수는 629만 4,948명으로 2023년(614만 885명) 대비 15만 4,063명(+2.51%) 증가했다. 전체 인구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이 411만 5,557명(65.38%)으로 시·도 간 이동 217만 9,391명(34.62%) 보다 193만 6,166명 더 많았다. 수도권에서 수도권(72만 5,760명), 비수도권에서 비수도권(66만 980명), 비수도권에서 수도권(41만 8,851명), 수도권에서 비수도권(37만 3,800명) 순으로 이동이 많았다. 전국 인구이동률(인구 백명 당 이동자 수)*은 12.28%로 2023년(11.95%) 대비 0.33%p 증가했고, 시·도 간 이동률은 4.25%, 시·도 내 이동률은 8.03%로 2023년 보다 각각 0.07%p, 0.26%p 늘었다. * 전년 말 주민등록 인구와 당해 연말 주민등록 인구 산술평균의 100명당 이동자 수,(’21)13.97% → (’22)11.96% → (’23)11.95% → (’24)12.28% 시·도별 순이동(전입-전출)은 경기(+6만 4,318명), 인천(+2만 5,689명), 충남(+1만 4,714명), 충북(+3,255명), 세종(+2,823명) 5곳은 순유입, 그 외에 서울(▲4만 4,956명) 등 12곳은 순유출됐다. 2024년 시·도 간 연령대별 주민등록 인구이동은 20대가 66만 8,692명(30.68%)으로 가장 많고, 30대(20.72%), 40대(12.26%), 10대 이하(12.07%), 50대(10.93%), 60대(8.25%), 70대 이상(5.09%) 순이었다. 권역의 연령대별 순이동(전입-전출)을 보면, 수도권은 20대(+5만 4,095명), 10대 이하(+8,398명), 30대(+3,541명), 70대 이상(+193명) 인구가 순유입된 반면, 비수도권은 50대(+9,367명), 60대(+8,208명), 40대(+3,601명) 인구가 순유입됐다. 시·도의 연령대별 순이동(전입-전출)을 보면, 인천, 세종, 경기, 충남 등 4곳은 전연령대에서, 충북은 20대, 10대 이하를 제외한 연령대에서 순유입됐다. 김민재 차관보는 “우리나라는 5년 연속 인구가 감소하였지만, 9년 만에 출생등록자 수가 증가하며 긍정적인 변화의 기미를 보였다”며, “출생아 수 반전의 추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협업하여 양육환경을 개선하고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주민등록 인구현황 등 관련 통계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누리집(jumin.mois.go.kr),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및 국가통계포털(kosis.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5-01-03
  • 일상에서 풍요롭게 누린 2024년 문화·여가 활동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세원, 이하 연구원)과 함께 문화 분야 대표 통계인 2024년 ▴국민여가활동조사,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근로자 휴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국민의 문화·여가누림 양상과 근로자 휴가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매년 시행하는 국가승인통계조사이다. * 국민여가활동조사(2006년~, 2019년 주기 2년→1년 단축),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구 문화향수실태조사/1988년~, 2019년 명칭 변경 및 주기 2년→1년 단축), 근로자 휴가조사(2018년~, 매년) 문화누림의 대표적인 지표인 ‘문화예술행사 직접 관람률(이하 직접 관람률)’은 63.0%로 전년 대비 4.4%포인트 상승해 2021년부터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 가구소득, 지역규모별로 직접 관람률이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문화예술행사 직접 관람률(%): (’21년) 33.6→(’22년) 58.1→(’23년) 58.6→(’24년) 63.0 문화예술행사 분야별 관람률*은 영화(57.0%), 대중음악 및 연예(14.6%), 뮤지컬(6.4%)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영화 분야의 직접 관람률은 전년 대비 4.6%포인트 상승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또한 전체 응답자 대상 ‘문화예술행사 직접 관람 횟수’는 2.6회로 2023년 대비 0.1회 증가**했다. * 분야별 관람률(%): 영화 57%, 대중음악 14.6%, 뮤지컬 6.4%, 연극 5.9%, 미술 5.6% 등 ** 직접 관람 횟수(회): (’21년) 1.4→(’22년) 2.2→(’23년) 2.5→(’24년) 2.6 우리나라 국민이 한 번 이상 참여한 여가활동 1인당 평균 개수*는 16.4개로 전년(16.1개) 대비 증가했고, 특히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전년 대비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나 노년층의 여가활동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월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7시간, 휴일 5.7시간으로 전년(평일 3.6 시간, 휴일 5.5.시간)보다 증가했다. * 전체 88개 여가활동 세부 유형 중 한 번 이상 참여한 여가활동 개수 ** 60대 15.1%(전년 대비 0.8% 포인트 증가), 70세 이상 12%(전년 대비 0.7% 포인트 증가) 여가활동은 주로 텔레비전 및 온라인/모바일 동영상 시청이나 산책, 음악감상 등 매체를 이용한 여가활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인 여가활동을 한다는 사람들이 54.9%로 가족 및 친구들과 함께하는 비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여가지출 비용은 월평균 18만 7천 원으로 전년(20만 1천 원)대비 1만 4천 원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인 여가만족도는 61.6%로 2016년 이후 최고치로 나타났다. 근로자휴가조사는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먼저 연차소진율*은 77.7%로 전년 대비 1.5%포인트 증가했다. 연차 휴가 중 ‘여행 및 여가목적’의 사용 비율은 40.7%에서 45.5%로, ‘휴식목적’의 사용 비율은 29.6%에서 30.6%로 상승했다. * 연차소진율 = 100*(실제 사용한 연차휴가 일수/부여받은 연차휴가 일수) 아울러 연차 사용이 8월 하계 휴가기간에 집중되었으나 12월을 비롯해 타 기간 휴가 사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도 나타났다. ‘원하는 시기에 언제든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다’고 응답한 근로자가 100점 만점 기준 77점으로 2022년(69.3점)보다 7.7점 증가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이는 근로 환경 속 연차 사용의 유연성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최근 3년 간 12월 연차휴가 사용 현황: (’21) 8.5%→(’22) 9.0%→(’23) 9.4% 이번 조사의 세부적인 내용은 향후 문화셈터 누리집(stat.mcst.go.kr)과 문화예술지식정보시스템(policydb.kct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체부 이정우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이번 조사에서 문화·여가 활동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참여가 확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60대 이상 연령층의 여가활동 증가, 혼자 즐기는 형태의 여가활동 확대가 두드러지는 만큼 앞으로의 문화정책과 여가지원 정책 설계에도 이런 측면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며, “2025년에도 문화와 여가를 통해 국민의 삶에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문화 정책을 세심히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4-12-27
  • 2024년 11월 고용동향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11월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5~64세 고용률(OECD 비교기준)은 69.9%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하였고, 실업률은 2.2%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다. 실업자는 65만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1천명(-3.1%) 감소 하였고, 청년층 실업률은 5.5%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하였으며, 계절조정 실업률은 2.7%로 전월과 동일하였다. 2024년 11월 취업자는 28,82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2만3천명(0.4%) 증가하였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4-12-11
  • 2024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3% 하락, 전년동월대비 1.5% 상승하였고、 전월비는 공업제품은 상승하였으나, 전기·가스·수도 변동 없으며, 농축수산물, 서비스가 하락하여 전체 0.3% 하락하였다。 전년동월비는 서비스, 공업제품, 전기·가스·수도 및 농축수산물이 모두 상승하여 전체 1.5% 상승하였다。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1.9% 상승하였고、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1.8% 상승하였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4% 하락, 전년동월대비 1.6%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 식품은 2.2%, 식품이외는 1.2% 각각 상승하였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8.5% 하락, 전년동월대비 0.4%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 신선채소 10.4%, 신선어개 0.4% 각각 상승, 신선과실 8.6% 하락하였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4-12-03
  •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2.4%로 전년대비 2.4%p 상승하였다. 전년대비 자녀수별 고용률은 자녀 1명(63.4%) 2.2%p, 자녀 2명(62.0%) 2.7%p, 자녀 3명 이상(57.6%) 1.0%p 상승하였고, 전년대비 자녀연령별 고용률은 6세 이하(55.6%) 3.3%p, 7~12세(64.3%) 1.7%p, 13~17세(69.2%) 0.9%p 상승하였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 35.3시간으로 전년대비 0.4시간 감소하였다.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121만 5천명으로 전년대비 13만 3천명 감소하였고,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41.1%), 결혼(24.9%), 임신·출산(24.4%), 가족돌봄(4.8%), 자녀교육(4.7%) 순이다.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기간은 10년 이상(41.2%), 5~10년 미만(22.8%), 1년 미만(12.6%) 순이며,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단절여성은 97만 1천명으로 전년대비 11만명 감소하였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4-11-20
  • 5년 전에 비해 자전거 교통사고는 8.6% 줄고, 공영자전거 대여실적은 87.5% 늘었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예산 집행과 각종 연구 등에 필요한 주요 통계가 종합적으로 수록된 ‘2023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공표했다. 배포된 현황에는 ▲자전거 이용시설, ▲자전거 이용활성화 시책, ▲자전거 교통사고, ▲자전거 교통수단 분담률, ▲국토종주 자전거길 현황 5개 분야 총 25개 통계가 2023년 12월 말 기준으로 포함됐다. ‘2023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고관련) 자전거 교통사고는 5,146건으로 2022년(5,393건)에 비해 4.6%(247건) 감소했다. 관련 사망자 수는 지난해 통계 대비 30%(‘22년91명→ ’23년64명) 가까이 줄었다. 사고 유형별로 ‘자전거vs차’ 사고는 ’22년3,811건→ ’23년3,553건으로 감소했으나, ‘자전거vs사람’ 사고는 ’22년1,337건→ ’23년1,352건으로 소폭 증가했다. 자전거 교통사고는 최근 5년간 ’19년5,633건에서 ’23년5,146건으로 꾸준히 감소(8.6%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자전거도로의 시설 수준이 개선되고 안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 것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자전거 이용시설) 자전거도로 연장은 2만6,872㎞로 2022년 2만6,225㎞에 비해 2.5%(647㎞) 증가했으며, 2019년 2만3,850㎞에서 12.7%(약 3천㎞) 증가했다. 지자체가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전거도로 시설 확충에 지속적으로 힘쓴 결과로 보인다. 종류별로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2만23㎞(74.5%), ▲자전거 전용도로 3,763㎞(14.0%), ▲자전거 우선도로 2,071㎞(7.7%), ▲자전거 전용차로 1,015㎞(3.8%)로 조사됐다. (공영자전거) 공영자전거 대여실적은 약 5천7백만 건으로 지난해 통계인 2022년 약 5천 1백만 건에 비해 11.8%(약 6백만 건) 증가했으며, 2019년 약 3천만 건에서 약 87.5% 증가(약 2천 1백만 건)했다. 지역별 대여실적은 서울이 4천 5백만 건(79%)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대전 4백 3십만 건(8%), 경남 4백만 건(7%), 세종 2백 5십만 건(4%) 순이었다. (교통수단 분담률) 자전거의 통근‧통학 이용 교통수단 분담률*은 1.41%, 통행수단 별 분담률**은 1.53%로 나타났다. * 통근‧통학시 이용하는 교통수단 분포로 5년 단위로 조사 실시(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통행수단별 이용하는 교통수단 분포로 5년 단위로 조사 실시(국토부,국가교통조사) 통근·통학 이용 교통수단 분담률이 높은 지역은 세종(2.4%), 울산(2.1%), 통행수단 별 분담률이 높은 지역은 세종(2.6%), 전북(2.0%)이었다. (단체보험) 자전거 사고로 인한 사망‧후유장애‧입원 등을 보장하는 자전거 관련 단체보험 가입 인원수는 4,591만 7,744명으로 전년(38,150,227명)에 비해 약 20.4%(7,767,517명) 증가했다. 단체보험 가입인원은 각 지자체가 자전거 관련 일반보험, 시민안전보험, 공영자전거 이용자보험 등으로 가입한 데 따라 크게 증가했다. (국토종주 자전거길) 국토종주자전거길은 12개 노선 총 1,857㎞로 2023년 한 해 동안 약 5만 5천 명이 국토종주 자전거길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은 국민 누구나 쉽게 찾아보고 이용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go.kr) ‘정책자료→통계→승인통계’에서 전자파일로 제공된다. 조영진 지방행정국장은 “이번 자전거 이용 현황 통계가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자전거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 감소 추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4-10-14
  • 2024년 8월 고용동향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8월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5~64세 고용률(OECD 비교기준)은 69.8%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하였고, 실업률은 1.9%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다. 실업자는 56만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천명(-1.6%) 감소하였고, 청년층 실업률은 4.1%로 전년동월대비 0.4%p 하락하였으며, 계절조정 실업률은 2.4%로 전월대비 0.1%p 하락하였다. 2024년 8월 취업자는 28,80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23천명(0.4%) 증가하였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4-09-19
  • 2024년 6월 산업활동동향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6월 산업활동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산업생산은 광공업*(0.5%) 등에서 늘었으나, 공공행정(-5.1%), 건설업(-0.3%)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1% 감소 하였다. * 반도체, 화학제품 등에서 증가 소매판매는 승용차, 통신기기·컴퓨터 등에서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1.0% 증가하였고,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가 늘어 전월대비 4.3% 증가, 건설기성은 건축에서 공사실적이 줄어 전월대비 0.3% 감소하였다.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1p 하락하였고,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2p 상승하였다.
    • 데이터로보는세상
    2024-07-3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