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이 그간 벤치마크 지수가 없어 투자가 활발하지 않았던 틈새 및 비핵심(Niche & Non-Core) 부동산 섹터의 운용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글로벌 지수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성장 가능성이 크지만 투자 성과를 측정할 수 없었던 데이터센터·요양시설 등 다양한 부동산 자산에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본부장 서원주)는 런던증권거래소 그룹 자회사인 FTSE Russell과 협업을 통해 'FTSE EPRA Nareit Developed Extended Opportunities RIC 6/45 Capped Index'(이하 신규 지수)를 개발해 지난해 11월부터 글로벌 지수로 활용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부동산 신규 지수는 사무용 빌딩, 백화점과 같은 판매시설 등 전통적인 부동산 투자에서 벗어나 새로운 영역으로 넓히기 위해 고안했다. 기존 부동산 지수인 FTSE EPRA Nareit Developed Indexes와 달리 종목을 세분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지수는 기존 부동산 전통 부문을 제외하고, 기존에 투자하지 않았으나 성장 가능성이 기대되는 비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고안됐다. 비핵심 분야에는 데이터센터, 물품 보관 서비스, 요양시설, 생명과학 연구시설, 삼림, 단독주택, 조립식 주택, 병원·진료 시설, 학생 기숙사 등이 포함된다. 이는 전통 부동산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크고, 경기 상황과 상관 관계가 적기 때문에 새로운 투자처로 주목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