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종편집 2024-04-16(화)
 

우리가 사용하는 방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센터(IDC)

데이터를 보존한다는 점에서 팔만대장경에 비유되기도 하는 시설이다. 

이러한 데이터센터의 유치와 건립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데이터센터란 인터넷과 연결된 데이터를 모아두는 시설로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유통시키는 핵심 인프라시설이다. 

 

구글은 총 13군데의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고, 각 데이터센터에 많게는 9백만 달러까지 투자할 만큼

데이터의 운영에 데이터센터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듯 방대한 데이터를 다루는 데이터센터의 가동에는 당연히 대규모 전력이 필요하기 마련이다.  

당연히 대규모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마찰과 이슈가 생겨나고 있다. 

 

 

데이터센터 한 개가 쓰는 전력량은 1년에 25기가와트시(GWh)로 6,000세대가 1년 동안 사용하는 양과 맞먹는다고 한다.  

막대한 규모의 전력을 데이터센터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특고압선을 매설해 연결해야 하는데 이 특고압선 매설을 두고 특히 논쟁이 일고 있다. 

 

그 예로 평촌 지역 주민들은 LG유플러스의 IDC 평촌2센터 건립과 관련해 초고압선에서 나올 전자파가 우려된다며

반대 시위를 이어가는 중이다.  

평촌외에도 곳곳에 늘어나는 데이터센터가 건설될 지역의 주민들은 초고압선의 전자파를 이유로 데이터센터를 반대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확산과 초고압선 부설에 따른 갈등해소 및 대책모색포럼에서 최영범 LG유플러스 전문위원은

데이터센터의 전자파는 세계보건기구(WHO) 견해와 국내 법적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일상에서 사용하는 손 선풍기보다 낮게 측정된다며 설명을 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데이터센터는 마냥 환영받지 못하는 시설일까? 

수도권 주거지에서는 혐오시설 취급을 받는 데이터센터이지만 지방자치단체들은 최대 1000억원 규모 투자 보조금과

장기임대용지 제공 등을 제시하며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고자 열을 올리고 있다.

 

전라북도는 새만금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실무 추진단을 구성하기도 했으며, 강원도는 지역 대학과 연계한 전문인력 공급과

종사자 전용 주거단지 지원을 제시함과 동시에 500억원 이상 대규모 투자 시에는 최대 350억원을 지원하고 기반시설 설치와

기업 맞춤형 원스톱행정 서비스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국 데이터센터의 70퍼센트가 수도권에 집중되어있는 상황이니만큼

정부도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 데이터 분산 정책을 본격화하고 있다.

 

전체댓글 0

  • 2691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데이터센터를 둘러싼 이슈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